의사와 환자가 진료실밖에서 손잡고
의사와 환자가 진료실밖에서 손잡고 |
![]() |
![]() 여름은 참으로 길었습니다.
해시계 위에 당신의 그림자를 얹으십시오.
들에다 많은 바람을 놓으십시오.
마지막 과실들을 익게 하시고
이틀만 더 남국의 햇볕을 주시어
그들을 완성시켜, 마지막 단맛이
짙은 포도주 속에 스미게 하십시오.
지금 집이 없는 사람은 이제 집을 짓지 않습니다.
지금 고독한 사람은 이 후도 오래 고독하게 살아
잠자지 않고, 읽고, 그리고 긴 편지를 쓸 것입니다.
바람에 불려 나뭇잎이 날릴 때, 불안한 마음
이리저리 가로수 길을 헤맬 것입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가을날’ 전문 완연한 가을입니다. ‘장미의 시인’ 릴케의 ‘가을날’이 어울리는, 하늬바람 솔솔 부는 가을입니다. 릴케는 장미 가시에 찔려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사인은 백혈병입니다. 백혈병은 한 때 애절한 병이었습니다. ‘러브 스토리’ ‘라스트 콘서트’ ‘사랑의 스잔나’ ‘가을동화’ 등에서 이 병에 걸린 여주인공은 속절없이 안타까운 사랑을 접어야 했습니다. 영화에서 예쁜 백혈병 환자가 많은 것은 백혈병에 걸리면 조혈모세포(혈액줄기세포)가 적혈구를 제대로 못 만들어 얼굴이 창백해 보이곤 하기 때문입니다. 암은 크게 혈액과 림프계에 생기는 ‘혈액암’과 특정 장기에 생기는 ‘고형암’으로 양분되는데, 지금까지 암 정복의 역사는 혈액암 분야가 이끌어왔습니다. 혈액암은 고형암과 달리 혈액을 뽑아 쉽게 병의 진행 과정을 볼 수 있고 약물 반응을 빨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실험에 유리하기 때문이지요. 백혈병은 1970년대 골수이식이 등장하면서 ‘완치 가능한 암’이 됐습니다. 백혈병 가운데 30~60대 성인이 잘 걸리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은 2001년 ‘표적 항암제’ 글리벡이 시판되면서부터 약으로 치료되는 병이 됐습니다. 그러나 상당수 환자가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거나 정기 진단을 게을리 해서 병을 키우거나 재발한다고 합니다. 국내에서 CML 연구와 진료를 주도하고 있는 서울성모병원 가톨릭암병원과 백혈병 환자들의 등산모임 '루산우회' 회원들이 환자의 완치율을 높이기 위해 ‘CML의 날’을 만들었습니다. 그날이 오늘, 9월 22일입니다. 인체에서 9번, 22번 염색체가 고장 나면 이 병이 생긴다는 데 착안했다고 합니다. 올해는 국내에서 첫 행사를 벌이지만 내년부터는 아시아 전역에서 펼쳐진다고 합니다. 의사와 환자가 진료실 밖에서 손을 맞잡고 환자들을 도우려는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CML의 날' 제정에 중추 역할을 한 서울성모병원 김동욱 교수뿐 아니라 서울대병원 노동영, 아주대병원 전미선, 한양대병원 배상철 교수 등 제가 아는 수많은 의사들이 진료실 밖에서 환자들을 보듬고 있습니다. 이런 사랑의 마음이 번져가고, 그 사랑이 많은 사람을 살리기를 빕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