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윤동주 `서시` 이해와 감상 / 양승준
서시(序詩)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이 시는 해방 후 간행된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모두(冒頭)에 놓여 참 삶을 추구, 지향하는 윤동주의 모든 것을 대표하는 명시(名詩)이다. 윤동주는 식민지라는 암담한 현실 속에서 지성인으로서 겪어야 했던 정신적 고뇌와 아픔을 섬세한 서정과 투명한 시심(詩心)으로 노래한 시인이다. 그는 고요한 내면의 세계를 응시하려는 순결한 정신의 소유자요, 자신이 걸어야 할 삶의 길에 순응하고자 했던 인간이다. 그를 일제 말기라는 문학적 공백기에 민족적 의지와 양심을 지켜주던 대표적 시인으로 평가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의 시가 시대적 상황의 투시와 양심에서 배태된 ‘부끄러움’의 인식의 소산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구조는 2연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세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1연은 둘로, 즉 1~4행과 5~7행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단락은 과거 시제로 지금까지 화자가 살아온 생활의 고백이고, 둘째 단락은 미래 시제로 미래의 삶에 대한 화자의 신념의 표명이다. 셋째 단락인 2연은 현재 시제로 현재의 시적 상황의 제시이다. 결국 이 시는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이며, 지금 현재는 어떠하다는 구조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시의 배경은 별과 밤하늘이다. 별이 빛나는 그 밤하늘 아래 시적 화자인 ‘나’가 존재하고 있다. ‘밤’은 암울한 시대 상황이며 자아의 실존적 암흑 의식을 표상하고 있으며, ‘별’은 외로운 양심의 표상이자 구원(救援)의 지표로 희망과 이상 세계를 상징하고 있다. 이런 배경 속에서 화자는 ‘하늘을 우러러 / 한 점 부끄럼 없기를’ 희원(希願)하며, 도덕적 결백성과 순결성 때문에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하’고 있다. ‘별’과 대조가 되는 ‘바람’은 화자가 추구하는 참 삶과, 지켜 오고 있는 양심을 흔들리게 하는 현실적 시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시에서는 우주 섭리(攝理)에 따라 자신에게 주어진 인생에 충실한 한편, ‘별을 노래하는 마음[이상 세계를 지향하는 순수한 마음]’으로, 죽어가는 모든 것과 조국과 민족의 고난을 포근히 감싸 안고자 했던 시인의 지극한 휴머니즘의 정신을 엿볼 수 있다. 특히, 마지막의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라는 시행은, 그가 처한 암담한 현실 상황을 대변하는 동시에, 바람에 부대낄수록 더욱 밝은 빛을 발하는 별과 같이 자신의 이상도 빛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이렇듯 이 시는 24세 때(1941.11.20)의 젊은 나이에 창작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시적 화자의 비판적 현실 인식과 냉철한 자기 인식으로 드러나는 시인의 인간적 성숙도를 짐작하게 해준다. 그러므로 조국의 독립을 위해 28세의 젊은 나이로 후쿠오카의 어두운 감옥에서 숨을 거둔 시인이 하늘과 양심 앞에 조금도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고자 했던 번민과 의지의 결실인 이 시는, 우리 모두에게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귀중한 교훈을 주는 데 조금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 양승준. <한국현대시500선 - 이해와 감상> 상,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