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선민 시인의 서재입니다

[스크랩] 시낭송자를 위한 용어사전 본문

시낭송방

[스크랩] 시낭송자를 위한 용어사전

오선민 2018. 12. 19. 15:54

시낭송자를 위한 용어사전

[용어 사전]

[ㄱ]

가락(melody,선율)

(음악) 음악의 기본 요소 가운데 하나로 소리의 높낮이가 길이나 리듬과 서로 어울려 이루어지는 음의 흐름. 한자로는 음을 빌려 ‘加樂’으로 적기도 한다.

그의 음악에는 우리 가락의 멋과 한이 서려 있다.

상엿소리를 하는 서 씨의 구슬픈 가락은 온 동네 사람들을 울려 놓았다.

고요한 가락에 맞춰 천천히 춤을 추는 그녀의 모습은 한 마리 새와 같았다.

 

가면극(假面劇)

가면을 쓰고 하는 연극 정교한 형식을 지닌 궁정 오락으로서 시극 음악 무용 화려한 의상 무대 장관으로 구성.

 

각색(脚色)

연극 용어로 소설이나 논픽션 등 어떤 원작을 연극으로 무대에 올리기 위한 대본으로 바꿔 쓰는 것을 말함.

 

갈래

유사성을 중심으로 분류한 문학 작품의 장르. 시 소설 희곡이라든가 서정시 서사시 극시 같은 것이 그 예이다.

 

갈등(葛藤)

희곡이나 소설 등에서 의지적인 두 성격의 대립 관계를 뜻한다. 인물과 인물 인물과 환경 사이의 갈등을 외적 갈등이라 하고 한 인물 내부의 대립적 욕구로 인한 갈등을 내적 갈등이라고 한다.

감상주의(感傷主義)

어떤 원칙을 주장하는 뜻에서 주의가 아니고 감정 과정의 의미에서 주의이다. 슬픔이나 기쁨 등의 정서를 사실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그러한 정서 자체를 인위적으로 조장하는 데서 생긴다.

 

감성적(感性的)

어떠한 자극에 대하여 느낌이 일어나는 것.

예) 지적으로나 감성적으로 즐거움을 만들어 주는 책이 좋은 책이다.

감수성이 풍부하여 자극을 잘 받는 것.

예) 그녀는 매우 감성적이어서 아름다운 경치를 보면서도 곧잘 눈물을 흘리곤 한다.

 

감수성(感受性)

자극을 받아들여 느끼는 성질이나 성향.

예)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탁월한 언어적 감수성과 이미지는 부러움과 존경의 대상이었다.

 

감정이입(感情移入,empathy)

어떤 대상에 자신의 감정을 불어넣거나, 다른 사물로부터 받은 느낌을 직접 받아들여 대상과 자신이 서로 통한다고 느끼는 일.

즉,자기의 감정을 대상 속에 동일시하는 것을 말한다. 사람은 주위의 사물을 자기 중심으로 이해하려는 본능이 있으므로 생물과 무생물에 인격적 요소를 이입하여 생각하게 된다.

󰡒산이 날 에워싸고 / 씨나 뿌리고 살아라 한다󰡓(박목월의 「산이 날 에워싸고」 중에서)도 그 예가 된다. 넓은 뜻의 심적 연합 작용의 한 형식이다. 대상과 인간 감정이 완전히 결합되어 혼연히 융합하는 경우, `미적 감정이입'이라 하고, 이것을 미의식의 근본원리로 보는 것이 철학자 립스 등의 `감정이입 미학'이다.

예) 은지는 영화 속 주인공에게 감정 이입을 하며 마치 자신이 사랑하는 이와 이별한 것처럼 슬퍼한다.

 

객관적 상관물(客觀的 相關物)

창작자가 표현하려는 자신의 정서나 감정, 사상 등을 다른 사물이나 상황에 빗대어 표현할 때 이를 표현하는 사물이나 사건을 뜻한다. 즉, 개인적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사물과 사건을 통해서 객관화 하려는 창작기법이다.

엘리어트가 처음 말함.

 

격음화(激音化)

'ㄱ·ㄷ·ㅂ·ㅈ'과 같은 평음(平音)과 'ㅎ'이 만나 'ㅋ·ㅌ·ㅍ·ㅊ'과 같은 거센소리, 즉 격음이 되는 음운현상.

학자들은 '격음·격음화' 대신 '유기음(有氣音)유기음화'라는 용어를 흔히 쓴다. 유기음은 기식(氣息)이 있는 소리, 즉 숨소리가 섞인 소리라는 말이다. 'ㅎ'은 기식만으로 이루어진 소리이므로 평음이 'ㅎ'과 만나 유기음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평음과 'ㅎ'이 만날 때 'ㅎ'이 앞에 오느냐 뒤에 오느냐에 따라 순행적 격음화와 역행적 격음화로 구분한다. 역행적 격음화는 평음과 'ㅎ'이 축약되는 현상인데 한자어에서 많은 예를 볼 수 있다(국화[菊花]·집합[集合]·산업화[産業化]·응급환자[應急患者]). 순우리말이 관련된 예로는 '착하다·대답하다·복잡하다'와 같은 복합어나 '잡히다·먹히다·밟히다'와 같은 피동형(被動形), '맞히다·식히다·앉히다'와 같은 사동형(使動形), 그리고 '급히·넉넉히·솔직히'와 같은 '히'가 붙은 파생부사를 들 수 있다. 단어가 아닌 구(句)에서도 평음과 'ㅎ'을 연결하여 발음하면 격음화가 일어난다. '밥 한 술, 더욱 향상되어'와 같은 것들을 이어서 발음하면 각각 '바판술·더우컁상되어'가 된다.

 

경구개(硬口蓋)

입천장 앞쪽의 단단한 부분. 두꺼운 점막으로 덮여 있고 안쪽에 뼈가 있다. 그 앞 끝이 윗잇몸이다.

 

경구개부해방음

콧망울에서 소리가 나도록 하는 발성법.

 

경음화(硬音化)

'ㄱ·ㄷ·ㅂ·ㅅ·ㅈ'과 같은 평음(平音)이 'ㄲ·ㄸ·ㅃ·ㅆ·ㅉ'과 같은 된소리, 즉 경음(硬音)으로 바뀌는 음운현상.

경음화가 일어나는 조건은 다양하다. 받침소리 7개(ㄱ·ㄷ·ㅂ·ㄴ·ㄹ·ㅁ·ㅇ) 중 'ㄱ·ㄷ·ㅂ' 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난다(책방[책빵]·짚신[집씬]·밭과[받꽈]·놓세[→녿세→노쎄]·맑다[막따]·넓게[널께]). 이것은 'ㄱ·ㄷ·ㅂ' 뒤에서 평음을 연달아 발음할 수 없기 때문에 일어나는 자동적인 음운현상이다. 나머지 경음화는 그렇지 않다.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끝소리가 'ㄴ·ㅁ'과 같은 비음(鼻音)일 때는 그뒤에서 어미의 첫소리가 경음화된다(안고[안꼬]·담다가[담따가]·젊지[점찌]). 그런데 피동형이나 사동형에서는 피동·사동 접미사 '기'가 '끼'로 경음화되지 않는다(안기다[피동형/사동형, 안끼다×]·남기다[사동형, 남끼다×]·굶기다[사동형, 굼끼다×]). 관형형어미 '(으)ㄹ' 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난다(올 사람[올싸람], 올듯말듯[올뜻말뜻], 먹을 것[먹을껏], 빨대[빨때]). '곧 갈게, 갈지도 모른다, 갈수록 태산'에 나타나는 어미 '(으)ㄹ게·(으)ㄹ지·(으)ㄹ수록'이 '(으)ㄹ께·(으)ㄹ찌·(으)ㄹ쑤록'으로 발음되는 것도 '(으)ㄹ'이 경음화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법[法:불법·편법·헌법, 단 '방법'은 경음화 안 됨]).

 

공명강(共鳴腔)

성대에 의해 나오는 소리에 공명을 주는 공동(空洞)

 

관념(觀念)

①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관한 견해나 생각 ② 마음을 가라앉혀 탐구하고 생각하다.

 

예) 그런 관념이 이미 뿌리박힌 사람을 무슨 수로 바꾸니?

 

관능적(官能的)

성적인 감각이나 욕망을 자극하는 것.

예) 수영복을 입은 모델들의 모습이 무척 관능적이다.

 

예) 이 영화는 줄거리의 전개보다는 배우의 관능적인 모습에 초점을 맞춘 것 같다.

 

골계미(滑稽美)

① 익살스러움이나 풍자가 주는 아름다움.

예) 우리나라의 탈춤에서는 골계미가 많이 나타난다.

② (철학) 미적 범주의 하나. 익살, 풍자를 통해 일어나는 아름다움.

 

공감각(共感覺, synesthesia)

한 감각의 심상을 다른 감각의 형용사로 묘사하거나 하는 것.

무관한 두 개 이상의 감각을 하나의 이미지로 통합하는 것을 뜻한다.

예) 은쟁반에 옥구슬 구르는 듯한 목소리

 

금선(琴線)

느낌이나 감정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마음결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지(機智)

지적인 것이며 언어적 표현에 의존한다. 서로 다른 사물에서 유사점을 찾아내고 그것을 경구나 압축된 말로 표현하는 지적 능력.

 

[ㄴ]

 

나르시스(Narcisse)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미소년. 에코(Echo)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않은 벌로, 물에 비친 자기 모습을 사랑하다가 물에 빠져 죽어서 수선화(水仙花)가 되었다고 한다.

 

나르시시즘(narcissism)

자기 자신을 사랑함. 자아도취나 자의식 과잉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말이다.

 

나비효과(Butterfly effect)

어떤 일이 시작될 때 있었던 아주 작은 변화가 결과에서는 매우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는 이론.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Lorentz, E.)가 주장한 것으로, 브라질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미국 텍사스에 토네이도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이론이다.

 

날숨<호기(呼氣)exhalation>

내쉬는 숨. 즉 허파에서 공기를 내보내는 숨을 이른다.

우리 회사의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가 무산되자 책임자였던 김 과장은 날숨을 길게 내쉬었다.

 

낯설게 하기

평범한 사실을 익숙하지 않은 방식으로 표현하여 참신하고 새로운, 충격적인 느낌을 주는 방법.

예) 차를 마신다. : 장벽에 무시로 인동 삼긴 물이 나린다.

 

내레이션(narration)

(연극)(영화) 영화, 방송, 연극 등에서 줄거리나 장면에 관한 해설. 또는 그 소리.

예) 이 영화는 클로즈업(close up)된 주인공의 얼굴 위로 내레이션이 흐르는 결말 부분이 인상적이다.

 

내재율(內在律)

시에서,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숨은 형태로 깃들여 있는 운율.

예문) 자유시의 생명은 내재율의 확보와 언어의 구체화라고 할 수 있다.

 

내포(內包)

사전적 의미가 작품 구조 내에서 새롭게 이루어 내는 의미. 함축적 의미.

 

[ㄷ]

 

다다이즘

1차 세계대전 중 나타난 전위적 예술 운동에 대해 시인 트리스탄 짜라가 붙인 이름. 전쟁의 잔인성을 증오하고 합리적 기술 문명을 부정하여 일체의 제약을 거부하고 기존 질서를 파괴하는 과격한 실험주의적 경향. 뒤에 초현실주의에 흡수되었다.

다이돌핀(didorhin)

감동의 호르몬이고 엔돌핀의 4,000배의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사랑에 빠졌을 때, 좋은 풍경에 압도 되었을 때, 진리를 깨달았을 때, 일에 몰입할 때 호르몬 분비가 왕성하다.(,,,로 기억한다)

다의성(多義性)

단일한 의미가 아니라 암시적으로 여러 갈래의 의미를 드러내는 문학 언어의 한 특성.

다큐멘터리

허구가 아닌 실제로 일어난 사건의 전개에 따라 구성된 기록 문학에서는 기록 문학을 뜻한다.

대구법(對句法)

(문학) 어조나 어세가 비슷한 어구를 짝지어 문장에 변화를 주는 수사법.

비숫한 구조를 가지는 구, 절, 문장을 병치(竝置)하여 짝을 짓는 방법.

예) 대구법의 묘미는 유사성 속에서 차이를 발견하는 거야.

대조(대비)가 주로 내용적(의미)측면에서 상반성을 가진다면 대구는 주로 형식적(구조적)측면에서 유사성을 가진다. 의미가 상반되어도 구조가 유사하다면 대조와 대구가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다.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대구법+대조법)

대단원(大團圓)

(문학) 소설이나 연극, 영화 등 극적 구성을 가진 예술 분야에서, 사건 전개의 마지막 단계.

대본(臺本)

연극이나 영화의 기본이 되는 각본.

대유법

(제유법+환유법) 부분이나 특징으로 전체를 나타내는 방식.

직접 그 사물의 명칭을 쓰지 않고, 그 일부분으로써 혹은 그 사물의 특징으로써 전체를 나타내는 방법으로써 이에는 '제유법'과 '환유법'이 있다. '제유법'은 같은 종류의 사물 중에서 어느 한 부분으로써 전체를 알 수 있게 표현하는 방법이고, '환유법'은 표현하고자 하는 사물의 특징으로써 전체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예1)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들'은 국토)<이상화의'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예2) 금수강산 (대한민국)

위의 두 글에서 예1)은 제유법이고, 예2)는 환유법이다. 예1)의 '들'은 국토의 일부로서 '국토'를 나타내었고, 예2)의 '금수강산'은 우리 나라의 특징으로서 '우리 나라'를 나타내었다.

독백(獨白)

배우가 마음속의 생각을 관객에게 알리려고 상대역 없이 혼자 말하는 행위 또는 그 대사(臺詞).모놀로그(monologue)

동시(童詩)

어린이가 지은 시.

예) 학예회 때 부모들은 자신의 아이가 지은 동시를 감상하며 즐거워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사고와 정서에 맞게 지은 시.

예) 어린이 독자를 겨냥한 이 잡지는 동시를 주로 싣는다.

동시조(童時調)

어린이의 생각이나 느낌, 또는 기호에 맞는 내용으로 된 시조. 근래에 와서 시도되고 있으며 이는 날로 쓰이는 율이 높아가고 있다.

동요(童謠)

어린아이들의 감정이나 생각을 담아서 표현한 문학 장르의 하나. 또는 거기에 곡을 붙여 부르는 노래.

예)창작 동요 발표회.

예)요즘은 아이들이 동요를 부르지 않고 유행가를 부른다.

동화(童話)

동심(童心)을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를 위해 쓴 산문 문학의 한 갈래.

예) 백설 공주는 동화 속에 나오는 여주인공이다.

두음법칙(頭音法則)

어떤 소리가 단어의 첫머리나 음절의 첫소리에서 발음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른 소리로 바꾸어 발음하는 일.

‘ㅣ’, ‘ㅑ’, ‘ㅕ’, ‘ㅛ’, ‘ㅠ’ 앞에서의 ‘ㄹ’과 ‘ㄴ’이 ‘ㅇ’이 되고, ‘ㅏ’, ‘ㅓ’, ‘ㅗ’, ‘ㅜ’, ‘ㅡ’, ‘ㅐ’, ‘ㅔ’, ‘ㅚ’ 앞의 ‘ㄹ’은 ‘ㄴ’으로 변하는 것 따위이다. ‘녀자(女子)’가 ‘여자’로, ‘로인(老人)’이 ‘노인’으로 발음되는 일 따위를 말한다.

들숨<호기(呼氣),inhalation>

코나 입을 통해 안으로 들이쉬는 숨.

나는 들숨으로 한껏 가슴을 부풀린 뒤 바다를 향해 크게 소리를 질렀다.

[ㄹ]

리듬(rhythm)

일정한 박자나 규칙에 의한 음의 장단, 강약 따위의 흐름.

예) 승현이는 빠른 리듬에 맞춰 춤을 추었다.

예 그 노래의 멜로디와 리듬은 매우 경쾌한 느낌을 준다.

리얼리즘(realism)

사실주의 19세기 후반에 낭만주의에 대응하는 유파 자연이나 인생 등의 소재에 대하여 실제로 있는 그대로를 충실히 묘사하려고 하는 예술상의 한 경향.

[ㅁ]

말토막

긴 문장을 발화할 때 청자가 문장을 쉽고 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장을 나누어 발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매너리즘

예술 창작에서 독창성을 잃고 평범한 경향으로 흘러가 생기와 신선미를 잃는 일.

멜로드라마

연애를 주제로 하며 우연에 따른 변화와 호화스러움이 있고 그 내용이 감상적이고 통속적인 흥미 중심의 대중극.

멜로디(melody,旋律,가락)

음악의 기본 요소 가운데 하나. 소리의 높낮이가 길이나 리듬과 서로 어울려 이루어지는 음의 흐름.

예) 이 멜로디는 어디서 많이 들은 것 같구나.

예) 그의 연주를 들으면 고운 멜로디에 나도 모르게 마음이 편안해진다.

모더니즘

철학 미술 문학 등에서 전통주의에 대립하여 주로 현대의 도시 생활을 바였나 주관적이 예술 경향의 총칭 시에 있어서는 1910년이래 영미를 중심으로 일어난 이미지즘과 주지주의를 함께 말한다.

모티프(motif,프랑스어)

예술 작품에서, 창작 동기가 되는 중심 제재나 생각.

예) 이 소설은 죽음에 주된 모티프를 두고 있다.

모티브(motive)

예술 작품에서, 창작 동기가 되는 중심 제재나 생각.

예) 이 작품에 등장하는 마법에 걸린 남자의 모습은 민담에서 가져온 모티브이다.

예) 이 소설은 죽음에 주된 모티프를 두고 있다.

목독(目讀)

소리 내지 않고 눈으로 보며 읽음.

몰입(immersion, devotion, absorption)

① 깊이 파고들거나 빠지다. ② 어떤 대상에 깊이 파고들거나 빠짐. 

묘사(描寫)

어떤 대상을 객관적 구체적 감각적으로 표현하여 나타내는 일.

묵독(默讀,silent reading)

소리 내지 않고 속으로 읽는 것.

묵시(默示,revelation )

직접적이고 명료한 말이나 행동이 없이 은근히 자신의 뜻을 나타내 보임.

문명(文明,civilization)

인류가 이룩한 물질적, 기술적, 사회 구조적인 발전을 뜻한다. 자연 그대로의

원시적 생활에 상대하여 발전되고 세련된 삶의 양태. 흔히 문명을 물질적, 기술적인 발전으로, 문화를 정신적, 지적인 발전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문아(文雅)

① 시문을 짓고 읊는 멋이나 풍치 ② 풍치가 있고 아담하다.

문체(文體)

작자의 독특한 사상이나 개성이 문자의 어구에 나타나 이루어 내는 전체의 특색.

문학(文學,literature)

① (문학) 사상이나 감정을 상상의 힘을 빌어 언어로 표현한 예술. 또는 그 작품. 시(詩), 소설, 희곡, 수필, 평론 등을 이른다.

예) 그녀는 시대를 초월하여 영원하고 깊은 감동을 주는 문학의 힘을 믿는다. .

② 자연 과학이나 사회 과학을 제외한, 문학, 사학, 철학, 심리학 등의 학문을 통틀어 이르는 말.

문화(文化,culture)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삶을 풍요롭고 편리하고 아름답게 만들어 가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해 습득, 공유, 전달이 되는 행동 양식.

* 미학(美學) : 예술에 있어서의 미의 본질과 구조를 해명하는 학문.

* 민담(民譚) : 말로 전승되는 민중들의 이야기.

* 민속극(民俗劇) : 민간 전승의 연극 가장한 배우가 집약적인 행위로 이루어진 사건을 대화와 몸짓으로 표현하는 연극, 가면극, 인형극 이 있다.

* 민요(民謠) : 민중 속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민중의 생활 감정을 소박하게 반영시킨 노래.

[ㅂ]

반어(아이러니)

겉으로 표현할 내용과 속에 숨어 있는 내용을 서로 반대로 나타내어 독자에게 관심을 갖게 하는 기교다. 겉으로는 칭찬하는 척하지만 사실은 꾸짖고, 겉으로는 꾸짖는 척하면서 칭찬하는 방법으로서 '아이러니(irony)'라고도 한다.

반어법(反語法)

(언어) 수사법의 하나로, 본래의 뜻을 강조하거나 표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 표현하고자 하는 뜻과는 반대되는 말을 쓰는 표현법.

예) 반어법의 대표적인 예는 잘못을 저지른 사람에게 “참 잘했다.”라고 말하는 경우이다.

발문(跋文)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간행과 관련된 사항 등을 짧게 적은 글.

예) 그의 시집에는 발문이 빠져 있어서 좀 아쉽다.

발성법(發聲法,Voice production)

폐에서 나온 숨이 성대를 진동시켜서 소리를 내는 방법을 말합니다.

발화(發話)

소리를 내어 말을 함. 또는 그 말의 한 단락.

예) 청자로 하여금 화자의 의도에 가까이 오게 하는 것이 발화의 목적이다.

방백(傍白)

연극에서 관객에게는 들리나 무대 위의 상대방에게는 들리지 않는 것을 약속하고 말하는 대사.

배경(背景)

작품에서 어떤 사건의 원인이 되거나 공간으로서 작용하는 구체적 풍경 분위기 시대성 등의 요소.

번안(飜案)

외국 작품에서 원작의 줄거리나 사건은 그대로 두고 풍속 인명 지명 등을 자기 나리에 맞게 바꾸어 고침.

보조 관념(補助觀念)

어떤 다른 생각을 나타내는 매개로 쓰이는 사물이나 생각. '비둘기'가 '평화'를 나타낼 때 '비둘기'는 보조 관념, '평화'는 원관념

분절(分節, articulation)

어떤 대상을 몇 개의 마디로 가름. 또는 그 마디.

분철(分綴)

여러 형태소가 연결될 때, 그 각각의 형태를 음절이나 성분 단위로 밝혀 적음. 또는 그 표기법.

비교문학

다른 나라끼리의 문학을 비교하여 상호간의 영향 관계를 과학적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전체적인 문학의 특징을 밝히는 학문.

비극(悲劇)

희곡의 한 종류 결말이 비장미가 느껴지도록 꾸밈. 희극과 대립된다.

비유(比喩)

하나의 사상이나 사건을 설명할 때 다른 사물을 빌려 표현하는 것 직유, 은유, 풍유, 의인, 대유 등이 있음.

비장미(悲壯美)

(철학) 미적 범주의 하나. 슬픈 감정과 함께 일어나는 아름다움을 이른다.

예) 소설의 결말에서 사랑하는 두 남녀가 결국 함께 죽음에 이르는 장면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비장미를 느끼게 한다.

비평(批評)

예술 자체에 대한 또는 개개의 작품에 대해서 꾀한 어떠한 의미에 있어서의 가치평가.

[ㅅ]

산문(散文,prose)

운율이나 음절의 수 등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쓴 글. 소설, 수필, 논문, 서간, 일기, 희곡, 평론 등이 있다.

예) 기행문은 여행의 경로에 따른 시간적인 진행 과정을 중시하는 산문이다.

산문시(散文詩)

일정한 운율 없이 자유롭게 쓰는 시로 이야기 형식으로 쓰는 시 산문 정신 운문의 외형적 규범 및 낭만주의적인 시적 감각을 배제하고 사회적 현실주의에 의하여 파악된 현실을 순전한 사문으로써 표현해야 한다고 하는 태도.

상징법(象徵法)

(문학) 어떤 사물이나 관념의 특징 또는 의미를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않고 다른 사물이나 관념에 의해 암시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예) 시조 문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상징법을 연구해 보려고 한다.

서사시(敍事詩)

민족적이거나 역사적인 사건이나 신화 또는 전설과 영웅의 사적 등을 이야기 중심으로 꾸며 놓은 시.

서사적(敍事的)

어떤 사건이나 상황을 시간의 연쇄에 따라 있는 그대로 나열한 것.

서사체(敍事體)

어떤 사건이나 사실 전달을 위주로 서술해 나가는 문체.

서술자(敍述者)

소설에서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사람.

서정시(敍情詩)

서사시 극시와 달리 주관적이며 관조적인 수법으로 자기 감정을 운율로서 나타내는 시의 한 갈래.

서정주의(抒情主義,lyricism)

시, 소설 등에서 작자의 주관적 체험을 서정적으로 표현하는 한 경향 주로 사람 죽음 자연 등을 제재로 내적 감동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서사시(敍事詩)

민족적이거나 역사적인 사건이나 신화 또는 전설과 영웅의 사적 등을 이야기 중심으로 꾸며 놓은 시

서장(序章)

예술 작품을 구성하는 한 부분. 장으로 구성된 비교적 큰 형식의 작품에서 본격적인 내용의 앞 부분에 위치한다. 흔히 기본 사건이 전개되기 전의 생활이나, 작품의 주제를 암시하는 생활을 집약적으로 담는다.

예) 전통의 독자적 계승 발전이라는 작품의 주제를 관객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서장에서 우리 전통문화가 당면한 현실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서정시(敍情詩)

서사시 극시와 달리 주관적이며 관조적인 수법으로 자기 감정을 운율로서 나타내는 시의 한 갈래.

* 서정적 자아(抒情的自我)

시 속에서 말하는 사람으로 보통 시인 자신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시인이 시적 표현 효과를 위해 허구적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렇게 부름 시적 자아라고도 한다.

서정적(抒情/敍情的)

정서적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것.

예) 광각 렌즈로 풍경을 촬영하면 거리감이 있는 서정적인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예) 주제는 무거우면서도 표현과 분위기는 서정적인 수필이 없는 것은 아니다.

서정적 자아(抒情的自我)

시 속에서 말하는 사람으로 보통 시인 자신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시인이 시적 표현 효과를 위해 허구적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렇게 부름 시적 자아라고도 한다,

선율(旋律,가락,melody)

음악의 기본 요소 가운데 하나. 소리의 높낮이가 길이나 리듬과 서로 어울려 이루어지는 음의 흐름.

예) 그 방의 문틈을 타고 피아노의 부드러운 선율이 흘러나왔다.

성조(聲調,note)

음절 안에서의 소리 높이의 변동. 이는 단계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의미의 변별을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소재(素材)

예술 창작 상의 요소가 되는 재료. 곧 자연물, 환경, 인물의 행동, 감정 같은 것.

수미상관법(首尾相關法)

시가(詩歌)에서 첫 연을 끝 연에 다시 반복하는 문학적 구성법.

수미쌍관법(首尾雙關法)·수미상응(首尾相應)이라고도 한다. 머리와 꼬리, 처음과 끝이 서로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 문학적 구성법의 하나로, 주로 시가(詩歌)에서 많이 쓴다. 첫 연을 끝 연에 반복해서 쓰거나, 비슷한 내용의 구절이나 문장을 반복적으로 배치하기도 한다.

운율을 중시하고, 의미를 강조할 때 쓰는 주요 표현수법의 하나이다.

수사법(修辭法)

효과적이고 미적인 표현을 위해 말과 글을 꾸미고 다듬는 방법. 크게 비유법(比喩法)과 강조법(强調法)으로 나눌 수 있다.

예) 수사법(修辭法)은 문장의 묘미를 더하려는 표현 기법이다.

수사학(修辭學)

역사 전설 도덕 철학 등의 산문적인 요소를 내포하지 아니하고 순수하게 정서를 자극하는 표현적 기능만을 활용하여 짓는 시.

수필(隨筆,essay)

자신의 경험이나 느낌 따위를 일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기술한 산문 형식의 글.

예) 그녀는 경쾌하고 위트 있는 수필을 쓰는 문필가로 알려져 있다.

스토리

소설 희곡 영화 등의 내용상의 줄거리 이야기

시(詩,poetry)

인간의 사상과 정서를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형상화한 운문 문학의 한 갈래

* 시는 모방의 기술이다. (필립 시드니)

* 시는 강력한 감정의 자발적 발로이다. (워즈워드)

* 시는 정에 감응하여 말소리로 나타낸 것이다. (이규보의 <백운소설>)

* 시는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것이다. (맥리쉬)

<시의 종류>

서정시(lyric)·서사시(epic)·극시(dramatic poetry)로 나누어진다.

서정시는 개인을 주체로 하여 감정을 표현한 것으로 매우 주관적이며 짧다.

서사시는 민족을 주체로 하고 그 공동의 감정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야기 형태를 취한 것으로 객관적이며 길다.

극시는 복수의 화자를 가지는 표현 형식으로 주로 운문으로 씌어진 극을 뜻하는데, 셰익스피어나 J.W. 괴테 이후 거의 쇠퇴하여 오늘날에는 P.L.C.M. 클로델·엘리엇 등이 쓴 몇몇 작품이 전할 뿐이다

<시의 특성>>

* 절제된 언어와 압축된 형태로 표현한다.

* 내면화된 세계의 주관적이고 은밀한 토로(吐露)이다.

* 언어가 지니는 '소리(운율)'를 많이 활용한다.

* '시적자아(서정적 자아)'라는 대리인에 의해 전달된다.

<시의 3요소>

* 운율(리듬), 심상(이미지), 주제(함축적 의미)

<시의 4대 요소>

* 의미적 요소(생각) : 시에 담긴 시인의 뜻과 생각 → '주제'

* 음악적 요소(운율) : 반복되는 소리의 질서에 의해 창출되는 운율감 → '운율'

* 회화적 요소(심상) : 대상의 묘 사나 비유에 의해 떠오르는 구체적인 모습 → '형상'

* 정서적 요소(감정) : 시어에 의해 환기되는 심리 및 감정 반응 → '정서'

<시의 형식적 요소>

* 시어(詩語) : 시에 쓰이는 언어로, 함축적 의미를 중시하는 압축된 형태의 언어이다.

* 행(行) : 시에서의 한 줄을 가리킨다.

* 연(聯) : 시적 사고와 내용 전개의 단위로 하나 이상의 행이 모여서 이루어진다.

* 운율(韻律) : 시를 읽을 때 느껴지는 소리의 규칙적인 리듬이다.

<시어의 특성>

* 시는 언어 예술이다. : 시는 언어의 의미와 소리의 융합으로 이루어진 언어 예술이다.

* 언어의 외연적 의미보다 내포적 의미를 중시한다.

* 사이비(似而非) 진술 : 과학적 진실이나 상식에 어긋나면서도 시적 진실을 표현하는 진술 방식으로, '가진술(假陳述)'이라고도 하며, 시어의 중요한 속성이다.

예) 사람이 술을 마신다.(과학적 진술) → 술이 사람을 마신다. (가진술)

* 시적 자유(시적 허용) : 문법 파괴, 신조어 구사, 고어와 사투리의 사용 등 규범 문법의 제약에서 벗어난 표현이 시에서는 허용됨.

예) 당신은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아십니까?)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 (범하진)

* 다의성(多意性) : 하나의 시어가 서로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 성질을 말하며, '모호성'이라고도 하며, 이는 시어의 함축적 기능에 연유한다.

<시어의 기능>

* 음악적 효과(운율)를 줌.

* 이미지(심상)를 이루어 냄.

* 시의 어조를 만들어 냄.

* 시의 분위기(정조)를 형성함.

* 함축적 의미를 지님.

* 특수한 기법(반어, 역설, 풍자 등)에 의해 시적 긴장을 가져옴.

시가(詩歌)

① 가사(歌辭)를 포함한 시문학(詩文學)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예) 조선 전기에는 시가 문학이 발달하였다.

예) 시가는 산문보다 훨씬 정련된 조율의 질서를 가지고 있다.

② 시와 노래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 궁중 악곡에 실리어 가창 혹은 음영된 시가를 악장이라 한다.

예 민요는 어떤 단일한 갈래로 규정할 수 없는, 일반 민중의 생활 속에서 전승되는 모든 고전 시가의 총칭이다.

시나리오(scenario)

영화를 만들기 위해 쓴 각본.

장면이나 배우의 행동,대사 따위를 상세히 표현한다.

예) 정현이는 대학에 가서 시나리오 창작을 공부하고 싶었다.

예) 명자는 자신이 완성한 시나리오를 들고 대학 선배인 김 감독을 만나러 갔다.

시적 허용

시에서 특정한 효과를 드러내기 위해 문법적인 규칙을 일부러 어기는 것을 허용

예) 얇고 사 하이얀 고깔은 (하이얀 : 하얀)

예)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나빌레라 : 나비 같구나)

문법적으로 틀렸지만 시의 운치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시튜에이션

상황 어떤 인물이 처한 정세를 가리킨 것으로 연극 소설 영화 등에서 결정적 장면을 말함.

시학(詩學)

시에 대한 조직적 체계적 이론으로 시의 본질과 분류, 형식과 기교, 효용, 그 밖에 다른 예술과의 관계, 시의 기원 등을 합리적으로 설명한다.

신파극(新派劇)

신파 연극의 준말 재래의 전통적인 창극의 테두리를 벗어나 현대의 세상 풍속과 인정 비화 등을 제재로 하는 통속적인 연극 개화기로부터 1920년대에 이르기까지 성행하였다.

신파조(新派調)

창극(唱劇)의 형식과 전통에서 벗어나 당대의 세상 풍속이나 사람들 사이의 슬픈 이야기 등을 소재로 하여 만든 통속적인 연극에서 사용되는 말투나 분위기.

예) 그녀는 획일적인 신파조로 일관하는 텔레비전 드라마에 식상해 하고 있다.

심볼(symbol)

상징. 인간이나 사물 추상적인 사고를 그 연상에 의해 표현하는 것.

심상(心象)

① (문학) 감각 기관에 대한 자극 없이 의식 속에 떠오르는 영상. 의식 속에 떠오르는 관념 중에서 감각적이고 구체적인 성격을 지닌 것을 이르며, 과거에 지각(知覺)했던 것이 상기(想起)된 것도 있고, 여태까지 지각했던 일은 없으나 소설을 읽거나 남의 이야기를 듣거나 하여 마음에 떠오르는 것도 있다.

예) 심상을 표현하는 비유법은 직유(直喩), 은유(隱喩)가 대표적이다.

② (심리) 상상력에 의하여 구체적인 정경(情景)을 마음속에 그림.

[ㅇ]

아류(亞流)

문학, 예술, 학문 등에서 독창성이 없이, 뛰어난 것을 모방함.

아우라(Aura)

① (예술) 예술 작품에서, 흉내낼 수 없는 고고한 분위기. 작품의 원본만이 가지고 있으며, 복제가 가능한 사진이나 영화 등에는 생겨날 수 없다. 독일의 철학자 발터 벤야민이 제안하였다.

② 어떤 대상이 가진, 다른 것과 구별되는 독특한 분위기.

예) 그녀에게서는 사극 배우의 아우라가 느껴진다.

예) 이 사진은 기술적으로는 훌륭하지만 아우라가 없어.

아이러니(irony)

반어법, 수사학에서 의미를 강조하거나 특정한 효과를 유발하기 위해서 말의 표면상 의미 뒤에 숨어 그와의 반대의 뜻을 대조적으로 비치는 표현 형식.

알레고리(allegory)

흔히 풍유 또는 우유라고도 함 표면적으로 인물과 행위와 배경 등 통항적인 이야기의 요소들을 다 갖추고 있는 이야기인 동시에 그 이야기 배후에 정신적 도덕적 또는 역사적 의미가 전개되는 뚜렷한 이중 구조를 가진 작품.

앙가주망

사회 참여 현실 참여라는 뜻으로 프랑스의 사르트르가 주창하였다.

애매성(曖昧性)

신비평의 용어 함축적 의미의 언어가 사용되는 시에서 상식적인 의미 이외에 풍부한 암시성을 수반하거나 동시에 둘 이상의 의미를 드러낼 수 있는 융통성 복합적 의미 풍부한 의미라는 뜻으로서 난해서과는 구별된다.

앤솔러지(anthology)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시나 문장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골라 모은 책.

예) 이 책은 작가의 대표작들만을 모은 앤솔러지이다.

어간(語幹)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 등 활용어의 활용에서 변하지 않는 줄기 부분. 예를 들어 ‘잡아, 잡으니, 예뻐, 예쁘니’등의 활용에서‘잡-, 예쁘-’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어미(語尾)

어간에 붙어 그 쓰임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는 부분. 국어에서는 동사와 형용사 같은 용언의 어간이나 서술격 조사에 붙는다. ‘맑다’,‘맑으며’,‘맑으니’에서 ‘-다’,‘-으며’,‘-으니’와‘-이다’,‘-이며’,‘-이니’에서‘-다’,‘-며’,‘-니’ 따위이며 선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를 한데 묶어 이르는 말이다.

* 종결 어미(終結語尾)

용언을 서술어로 만들어 문장을 끝맺게 하는 어미. 동사에는 평서형, 감탄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이 있고, 형용사에는 평서형, 감탄형, 의문형이 있다.‘-다’,‘-구나’,‘-느냐’,‘-라’,‘-자’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어절(語節)

문장을 이루는 도막도막의 마디. 문장 성분의 최소 단위로써 띄어쓰기의 단위가 된다.‘영호가 사과를 먹었다’라는 문장은 세 어절로 이루어진 것이다.

어조(語調, tone)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사물과 독자에 대한 작가의 태도에 의하여 결정되는 말의 가락. 말의 가락이나 말하는 투로 어조는 대화를 할 때 표현을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주며, 어조에 변화를 줌으로써 화자의 감정과 기분을 전달할 수 있다.

언어유희(言語遊戱, Pun)

같은 소리가 나거나 소리는 유사하지만 뜻이 다른 말, 즉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를 해학적(諧謔的)으로 사용하는 반어적 비유법이다.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 하면 도라오기 어려오니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엇더리“

조선조의 명기 황진이의 시조이다. 이 시조는 축자적(逐字的) 의미 그대로 하면 서정시(抒情詩)요, 숨겨진 함축적 의미를 보면 애정시(愛情詩)다. 즉 ‘벽계수(碧溪水)’를 푸른 산골짜기의 흐르는 물로 보느냐, 당시 종실의 한 사람이었다고 하는 ‘벽계수(碧溪守)’로 보느냐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명월(明月)이’도 단순한 보름달로 보는냐? 아니면 황진이 자신을 기명(妓名)으로 보느냐 하는 것이다. 이렇게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를 적절하게 사용한 언어(言語)유희(遊戱)로 중의성을 지닌다.

② 미사여구나 현학적인 말로 상대를 현혹하는 일.

예) 일부 언론에서는 언어유희를 통해 본질을 왜곡하려 한다.

에피소드(episode)

이야기나 소설 등의 본 줄거리에 딸려 부분적으로 끼어 넣는 이야기 삽화.

에필로그(epilogue)

① (문학) 시, 소설 등에서 내용이 완결된 후 작가가 자신의 주장, 해석 또는 최종적인 결말 등을 진술하는 종결 부분.

난해한 작품이지만 에필로그를 읽으면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을 거야.

② (연극) 극의 마지막에 추가한 대사나 장면. 또는 극의 마지막에 배우가 관객에게 연극에 대한 해석이나 최종적인 결말, 인사말 등을 하는 부분.

③ (음악) 곡의 끝에 붙는 종결 부분. 특히 소나타 형식에서 제2주제 뒤의 작은 종결부(終結部)를 이른다.

엔돌핀(endorphin)

뇌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며 통증 완화효과를 지닌 아편성 단백질의 총칭.

암을 치료하고 통증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엔도르핀이 표준어나 엔돌핀으로 더 많이 시용하고 있으며 중독성이 없다.

엔터테이너(entertainer)

① 접대(환대)자.

② 연예인,(직업적으로)남을 즐겁게 해주는 사람.

에스프리(esprit,프랑스어)

①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

예) 이 화백은 여백을 중시한 동양의 에스프리를 서양인들은 잘 이해하지 못한다고 여겼다.

② (문학)자유분방한 정신 작용.

여음(餘音)

소리가 사라지거나 그친 뒤에도 남아 있는 울림.

예) 아버지의 발자국 소리는 긴 여음을 남기고 사라져 갔다.

역설(逆說)

겉으로 보기에는 진리에 어긋나는 것 같은 표현이나 사실은 그 속에 진리를 품은 말 패러독스

연구개(軟口蓋)

(의학) 동물의 입천장 뒤쪽의 연한 부분. 점막 밑에 횡문근이 있어 코로 음식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으며, 뒤 끝 중앙에 목젖이 있다.

* 횡문근(橫紋筋)

(생물) 가로무늬가 있는 근육.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근육으로, 골격근을 이루고 있다.

연극(演劇,theatrical art)

무대에서 연기를 통해 전달하는 종합예술.

* 연극의 3대 요소 : 배우, 희곡, 관객(4대 요소는 무대 포함)

연음(連音)

형태소가 인접해 있는 다른 형태소의 영향을 받아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 형태소(形態素) : 언어학에서 (일반적인 정의를 따르면) 일정한 의미가 있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 발화체 내에서 따로 떼어낼 수 있는 것.

연음 법칙(連音法則,linking)

앞 음절의 받침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가 이어지면, 앞의 받침이 뒤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되는 음운 법칙. ‘꽃이’가 ‘꼬치’로, ‘구름이’가 ‘구르미’로 발음되는 것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오버랩(overlap)

영화에서 어떤 화면 위에 다른 화면이 겹쳐지는 것으로 시간 경과에 대한 생략의 의미로 쓰인다.

외연(外延)

한 낱말이 본래 가지고 있는 사전적 의미 지시적 의미라고도 하며 내포와 대립된다.

연철(連綴)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가 연결될 때, 그 본래의 형태를 구분하여 적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이어 적는 표기법.

예) 사라민지라(사람인지라)

연철은 '사라민지라'와 같이 발음하는 것처럼 연결해서 적는 것을 말하고

분철은 '사람인지라'와 같이 분리해서 표기하는 것.

중철로 표기한다면 '사람민지라' 이다.

용명(溶明)

화면이 차차 밝아 옴. 한 장면이 시작할 때 쓴다.(FI, fade-in)

용암(溶暗)

화면이 차차 어두어짐. 한 장면이 끝날 때 쓴다.(FO, fade-out)

용언(用言)

동사·형용사를 총칭하는 것으로, 문장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포괄하여 부르는 품사분류의 상위개념으로

형태론적으로는 활용(活用)을 하고, 통사론적으로는 주로 서술어의 구실을 수행한다.용언은 동사와 형용사로 나뉘는데, 동사는 주로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형용사는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낸다. 명령형 어미와 청유형 어미를 취할 수 있는 동사와는 달리 형용사는 명령형·청유형 어미를 취할 수 없다

우화(寓話)

인간의 정화를 인간 이외의 동물, 신 또는 사물들 사이에 생기는 일로 꾸며서 말하는 짧은 이야기로서 도덕적 교훈이 담겨 있다.

운율(韻律)

시의 음악적 요소. 같은 소리의 반복에 의한 음악적 성과를 운이라 하고, 말의 고저, 장단에 의한 음악적 성과를 율이라고 한다.

위트(Wit)

기지 사물을 신속하고 지적인 예지로 인식하여 다른 사람이 기쁘게 즐길 수 있도록 교묘하고 기발하게 표현하는 능력.

율격(律格)

율, 즉 말의 고저, 장단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음악적 격식. 은유처럼 같이 등 연결어가 없이 원관념과 보조 관념을 결합시켜 나타내는 비유법의 하나. A는 B이다. A의 B와 같은 형태를 취한다.

율동(律動)

①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하는 움직임이나 운동.

② 일정한 규칙에 따라 주기적으로 가볍고 경쾌하게 움직이다.

율조(律調)

① (문학) 시의 운율.

예) 소월의 시는 우리 시의 전통적인 정서와 민요적인 율조를 가지고 있다.

②) 선율(旋律)을 속되게 이르는 말.

음감(音感)

(음악) 음이 지니는 여러 요소를 구별할 수 있는 감각. 음의 높이, 세기, 음색(音色)과 리듬, 선율, 화성 따위를 구별하고 느끼는 능력을 이른다.

음독(音讀)

소리를 내어 읽음.

음률(音律)

음악의 소리와 가락.

예) 달빛이 스며들면 곧이어 풀벌레들이 밤을 여는 음률을 선사한다.

예 그날 저녁 나는 잔잔한 플루트의 음률 속에서 책을 읽고 있었다.

음보(音步,foot)

시가(詩歌)의 운율을 이루는 기본 단위. 한국의 시가에서는 휴지(休止)의 한 주기라 할 수 있는 3음절이나 4음절이 보통 한 음보를 이룬다.

음성 상징(音聲象徵)

시적 표현에서 음성 자체가 감각적으로 떠올리는 표현 가치를 이른다. 의미 작용 의미 작용 문학 작품의 내적 구조 관계를 통해 자율적으로 의미를 산출해 내는 일 그렇게 하여 이루어진 의미.

음소(音素,phoneme)

그 이상 더 작게 나눌 수 없는, 의미의 구별을 나타내는 음운론상의 최소 단위. 음절(音節)은 하나 이상의 음소가 모여서 이루어진다.

예) 'tap'을 'tab'·'tag'·'tan'이라는 낱말들과 구별해주는 'p' 소리를 음소라고 한다.

음정(音程)

(음악) 한 음과 다른 음과의 음높이의 차이. 서양 음악에서는 전음계의 7음의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도(度)’라는 수치를 사용하는데, 도~레는 2도, 도~미는 3도, 도~파는 4도가 된다. 두 음이 연속하여 울리는 가락 음정과 두 음이 동시에 울리는 화성 음정이 있으며, 음정의 성질에 따라 완전 음정, 장음정, 단음정 따위로 나누어진다.

음절(音節,syllable)

음(音)의 한 마디.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를 이루는 발음의 단위로, 단숨에 내는 모음과 자음이 어울린 한 덩어리의 소리를 말한다.

음풍농월(吟風弄月)

맑은 바람을 읊고 밝은 달을 즐긴다는 뜻으로, 아름다운 자연의 경치를 시로 노래하며 즐김을 이르는 말.

의식(意識)의 흐름

인간의 잠재의식의 흐름을 충실히 표현하려고 하는 문학상의 수법.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즈는 이 기법으로 쓰여진 유명한 작품이며 이상의 날개도 이런 유의 작품에 속한다.

의인법(擬人法,personification)

추상적인 성질이나 동물, 무생물에게 인간의 특성을 부여하는 수사법.

운문(韻文,verse)

언어 문자 배열에 일정한 규칙이 가미되어 운율이 형성된 글.

예) 판소리 사설은 운문과 산문이 혼합되어 있다.

운(韻)

동일하거나 유사한 자음이나 모음이 일정한 위치에서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

두운, 요운, 각운 등 한시의 압운법이 대표적이다.

유열(愉悅)

즐겁고 기쁨.

예) 이렇게 조용한 산속 절에서, 비라도 내리면 호젓한 삶의 유열을 느낄 수 있다.

율(律)

소리의 고저, 장단, 강약, 글자의 수 등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

율격(律格)

일정한 구조로 반복, 지속되는 소리의 질서. 운율(韻律)의 한 양상으로 규칙적이고 정형적인 속성을 지닌다.

유음(流音)

혀끝을 윗잇몸에 가볍게 댔다가 떼거나 또는 댄 채 날숨을 양옆으로 흘려보내며 내는 소리. 자음 ‘ㄹ’이 이에 해당된다.

예) 침략(침냑), 담력(담녁), 심리(심니)

외형률(外形律)

시의 표면에 겉으로 드러난 운율(정형률).

역설법 (패러독스,paradox)

표면상 논리적으로 모순되는 내용을 통해 내적인 진리를 드러내는 방법.

표면적으로도 모순이 존재해서 반어법과 다르다.

예) 바쁠수록 돌아가라/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소리 없는 아우성/외로운 황홀한 심사/괴로웠던 사나이,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

예술(藝術,art)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창조하는 일에 목적을 두고 작품을 제작하는 모든 인간 활동과 그 산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운율(韻律,rhythm)

소리의 일정한 규칙적 질서로, 시를 읽을 때 느껴지는 가락(리듬감)을 말한다.

원관념(元觀念)

어떤 말을 통하여 달리 나타내고자 하는 근본 생각 보조 관념과 대립.

은유법(隱喩法,metaphor)

암유(暗喩)라고도 한다.

사물의 본뜻을 숨기고 주로 보조관념들만을 간단하게 제시한다.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유사성에 기반을 두고, 사물의 상태나 움직임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수사법.

'그대의 눈은 샛별 같다'는 표현은 직유지만 '그대의 눈은 샛별이다'라는 표현은 은유이다. 은근한 비유로 직유보다 더 인상적인 표현을 할 수 있는 것이 은유법이지만 은유를 남용하면 문맥이 어지럽고 문장의 뜻이 모호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음률(音律)

음악의 소리와 가락.

예) 달빛이 스며들면 곧이어 풀벌레들이 밤을 여는 음률을 선사한다.

예) 그날 저녁 나는 잔잔한 플루트의 음률 속에서 책을 읽고 있었다.

* 음률적(音律的) : 음악의 소리와 가락의 성질을 지닌 것.

음보율(音步律)

일정한 음보(音步 : 발음 시간의 길이가 같은 말의 단위 또는 끊어 읽기의 단위)를 반복함으로써 생기는 운율

예) 우리나라 전통 시가(시조, 가사, 민요 등)에서 주로 볼 수 있는 3음보, 4음보 등.

산에는 / 꽃 피네 / 꽃이 피네

갈 봄 / 여름 없이 / 꽃이 피네 ....3음보

비오자 / 장독간에 / 봉선화 / 반만벌어

해마다 / 피는 꽃을 / 나만 두고 / 볼것인가 ....4음보

음수율(音數律)

글자의 수를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생기는 운율.

예) 3(4)· 4조, 7· 5조 등.

음악(音樂,music)

박자, 가락, 음성, 화성 따위를 갖가지 형식으로 조화시키고 결합하여, 목소리나 악기를 통하여 사상 또는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

예) 최근의 대중적인 음악은 가사의 뜻을 이해하기 힘들다.

예) 리듬, 선율, 화성은 음악의 3요소이다.

예) 시험이 끝난 것을 알리는 종소리가 내 귀에는 천상의 음악처럼 들렸습니다.

** 음

* 고른 음 : 진동이 규칙정인 음(가락 악기가 여기에 속함, 사람의 목소리)

* 시끄런 음 : 진동이 불규칙적인 음(일반적으로 타악기가 여기에 속함)

** 음의 성질

* 길이 : 진동 시간에 의해 결정됨.

* 높낮이 : 진동 수에 의해 결정됨.

* 셈여림 : 진동 폭에 의해 결정됨.

* 음색 : 진동하는 물체의 재료나 구조에 따라 우리 귀에 달리 들리는 소리.

** 음악의 3요소

* 리듬 : 일정한 셈여림에 따라 음의 길고 짧음을 연결한 것

* 가락 : 리듬 위에 높낮이, 장단, 셈여림 등이 가미된 것.

* 화성 : 화음이 일정한 법칙에 의해 진행되는 것.

** 음악의 분야

* 작곡 : 곡을 만드는 것.

* 연주 : 작곡된 음악을 연주자에 의해 실연되는 것.

* 상 : 연주자에 의해 연주된 음악을 듣고 평하는 것.

ㅇ 음운 규칙

모든 언어마다 존재하는, 음운의 변화 현상을 말한다. 크게 동화, 이화, 삽입, 탈락, 강화, 약화, 도치, 치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시적인 변화 외에 통시적인 변화도 존재한다.

* 동화 : 특징이 다른 소리가 서로 비슷해지는 현상. 예: 한국어 독립: /독립/ → [동닙]

* 이화 : 특징이 비슷한 소리가 서로 달라지는 현상.

예: 영어 chimney: /ˈtʃɪmni/ → [ˈ tʃɪmli] (일부 방언에서)

* 삽입 :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현상. 예: 영어 hamster: /ˈhæmstəɹ/ → [ˈhæmpstəɹ]

(일부 화자에게)

* 탈락 : 있던 음운이 탈락되는 현상. 예: 한국어 이상(理想): /리상/ → [이상]

* 강화 : 예) 한국어 소주: /소주/ → [쏘주]

* 약화 : 예 일본어 てがみ (편지): /te/ + /kami/ → [tegami]

* 도치 : 음운의 위치가 서로 바뀌는 현상. 예: 영어 bird: 고대 영어 bridd

→ 현대 영어 bird

* 치환 : 음운이 변화하는 현상. 예: 한국어 내일(來日): /래일/ → [내일]

* 구개음화 : 구개음이 아닌 소리가 구개음으로 소리가 바뀌는 것을 말한다.

'구개'란 입천장을 말한다. 그래서 구개음화를 '입천장소리되기'라고 하는 것이다.

음조(音調,Pindaros)

(문학) 시문(詩文)에서, 소리의 높낮이나 강약, 장단 따위의 어울림.

(음악) 음의 높낮이와 길이의 어울림.

의성어(擬聲語)

사물의 소리를 흉내낸 말.‘야옹야옹’,‘드르륵’,‘쨍그랑’,‘탕탕’ 따위가 그 예이다.

의태어(擬態語)

사람이나 사물의 모양 또는 움직임 따위를 흉내 내어 만든 말.‘가물가물’,‘보송보송’,‘힐끔힐끔’따위가 있다.

이미지(심상,image)

마음속에 떠오르는 형상.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 공감각적 이미지

하나의 감각적 이미지가 다른 감각적 이미지로 전이 되는 것.

꽃처럼 붉은 울음을 밤새 울었다. (청각의 시각화)

금으로 타는 태양의 즐거운 울림 (시각의 청각화)

* 복합 이미지

전이가 일어나지 않고 단순히 동시에 이미지가 나타나는 것.

빨갛고 맛있는 사과 (시각과 미각)

이중모음(二重母音,diphthong)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끝이 달라지는 모음. 보통 활음과 단모음이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국어에서는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ㅟ, ㅢ’ 따위가 있다.

* 활음(滑音)

(언어) 조음 기관이 한 음에서 다른 음으로 옮아갈 때, 그 자체의 소리가 분명히 드러나지 아니하고 인접한 소리에 곁들어 나타나는 소리. 국어의 반모음 따위가 이에 속한다.

인두(咽頭)

구강(口腔)과 식도(食道), 비강(鼻腔)과 후두(喉頭) 사이에 붙어 있는 깔때기 모양의 근육성 기관.

인문학(人文學)

인간의 언어, 문학, 예술, 철학, 역사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예) 인문학의 이념은 단순히 지식의 축적이 아니라 자기의 내적 성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ㅈ]

자기화(自己化)

문학 작품을 통해 얻어지는 여러 가치를 자기 변화의 동기로 삼는 일.

자유시(自由詩)

전통적인 정형적 리듬을 벗어나 자유로운 리듬의 가락으로 이루어진 모든 형태의 현대시.

자율성(自律性)

문학 작품이 그 자체의 내적 구조를 통해 스스로 하나의 완결된 전체를 이루는 특성.

자음접변(子音接變)

자음동화(子音同化)라고도 한다. 져 발음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 그와 같거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거나 양쪽이 서로 닮아서 두 소리가 모두 바뀌거나 하는 현상. 예를 들면, ‘신라→(실라)’,‘약물→(양물)’,‘종로→(종노)’,‘몇 리→(면니)’따위를 말한다.

잠언(箴言)

사람이 살아가는 데 훈계가 되는 짧은 말.

장단(長短)

(음악) 곡조(曲調)의 빠르고 느림. 또는 그 빠르고 느림을 나타내는 박자. 악곡(樂曲)의 진행에서 강약(强弱)의 세(勢)를 나타내는 마디의 기본 형태로, 서양 음악의 리듬(rhythm)과 같은 뜻이며 주로 국악에서 쓰는 말이다. 장구나 북 등 타악기를 가지고 일정한 길이의 리듬형을 반복하여 쳐주는 것으로 일종의 반주 역할을 한다.

예) 어디선가 흥겨운 장단이 들렸다.

예) 굿거리는 중모리보다는 빠르고 자진모리보다는 느린 장단으로 판소리, 산조, 민요 등에 널리 쓰인다.

장르(genre,프랑스어)

문학, 예술에서의 부문, 종류, 양식, 형(型) 따위에 따른 갈래. 특히 문학에서는 서정, 서사, 극 또는 시, 소설, 희곡, 수필, 평론 따위로 나눈 기본형을 이른다.

예) 현대 예술에서는 장르를 혼합하는 시도 따위의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 수필은 시나 소설, 희곡 등 문학의 어느 장르보다도 제재가 다양하다.

장모음(長母音,long vowel)

발음의 지속 시간이 비교적 긴 모음.

* 모음의 뒤에 기호[ː]를 붙여 장모음을 나타낸다.

절음법칙(絶音法則)

합성어나 단어 사이에서 앞의 받침이 모음을 만날 때, 받침이 그 모음 위에 연음되지 않고 끊어져서 대표음으로 발음되는 현상. ‘웃어른’이 ‘우서른’이 되지 않고 ‘우더른’으로 발음되는 것 따위이다.

점층법(漸層法,climax)

작고 낮고 약한 것으로부터 차차 크고 높고 강한 것으로 끌어올려 표현함으로써 강조의 효과를 얻으려는 수사법.

예) 마치 층계를 하나하나 밟으며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과 같은 기법이다. "먼저 자신을 닦고, 집안을 가지런히 하고, 나라를 다스린 후, 천하를 태평하게 한다."는 점점 확장하는 방법이고, "천하를 태평하게 하려면 먼저 나라를 다스리고, 나라를 다스리려면 먼저 집안을 가지런히 하고, 집안을 가지런히 하려면 먼저 자신을 닦아야 한다."는 점차 세밀하게 찾아가는 방법이다. 후자는 별도로 점강법이라고도 한다.

정화 작용(淨化作用,카타르시스)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 이론으로 울적한 공포에 질린 감정을 해소하여 쾌감을 일으키게 하는 일.

제재(題材)

문학이나 예술 작품에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선택되는 이야기의 재료.

조사(助詞)

체언의 뒤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거나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품사. 대개 체언의 뒤에 오지만, 용언이나 부사, 어말 어미의 뒤에 오기도 한다. 조사는 그 기능과 의미에 따라 격 조사, 접속 조사, 보조사 등으로 나뉜다.

굴절어는 어근에 조사나 어미와 같은 접사가 붙어서 문법적인 기능과 의미가 달라지는 언어이다. 보조사란 체언에 어떤 뜻을 더해 주는 조사이다.

조음(調音,articulation)

① 성대에서 입술에 이르는 발음 기관이 개개의 음을 만들어 내기 위해 일정하게 움직임.

이 형태는 경직된 발성기관(예를 들면 경구개)과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발성기관(예를 들면 혀)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발성기관의 형태는 폐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켜 독특한 말소리를 낸다.

주요한 조음기관은 혀·윗입술·아랫입술·윗니·윗잇몸·경구개·연구개·목젖·인두·성문(성대 사이의 공간) 등이다.

② (음악) 악기의 음을 알맞게 고름.

조음 기관(調音器官)

(언어) 성대(聲帶)보다 위에 있는 음성 기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즉 입술, 이, 잇몸, 입천장, 혀, 인두(咽頭) 따위이다.

종합 예술(綜合藝術,composite art)

분야를 달리하는 모든 예술적 요소를 모아 이루어지는 예술. 여러 분야의 예술을 혼합하여 창조한다.

예) 뮤지컬은 노래, 연기, 춤이 결합된 종합 예술이야.

주제(主題,theme)

창의적인 예술 작품에 나타나는 중심 사상.

예) 고대 소설은 주로 권선징악을 주제로 한다.

주조음(主調音)

한 악곡 전체의 중심이 되는 기본 가락.

주지주의(主知主義)

종래의 주정주의에 대립하여 감각과 정서보다 지성을 중시하는 창작 태도와 경향 1차 세계대전 후 프랑스와 영국 미국에서 성했다.

중의법(重義法)

(문학) 한 단어에 두 가지 이상의 뜻을 곁들여서 표현함으로써 언어의 단조로움으로부터 벗어나고 여러 의미를 나타내고자 하는 수사법.

중층묘사(multiple description)

한 가지 대상이나 사상에 대한 구체적, 감각적 표현과 추상적 사상적 표현을 교차시켜 서술하는 방법이다. 다시 말하면 감각적 레벨에서 묘사하고 다시 그것을 추상적 레벨에서 관념적으로 서술하는 것이다. 이렇게 표현할 때 한 가지 대상이나 사상이 이미지와 관념이 교차되어 입체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지문(地文)

희곡에서 등장하는 인물의 동작 표정 심리 말투 등을 지시하여 서술한 글.

지시적 의미(指示的意味)

사전에 나타나는 그대로의 의미.

직관(直觀, intuition)

대상이나 현상을 보고 즉각적으로 느끼는 깨달음.

직유법(直喩法,simile)

비슷한 성질이나 모양을 가진 두 사물을 ‘같이, 같은, 처럼, 듯이, 양’등의 말로 연결하여 직접 비유하는 수사법.

예)‘새가 모이를 쪼아먹는 것처럼 밥을 먹는다'

예 '거북이처럼 동작이 둔하다'

[ㅊ]

체언(體言)

문장에서 조사의 도움을 받아 주체의 구실을 하는 단어. 명사, 대명사, 수사가 이에 속한다. 활용을 하지 않으며, 취하는 조사에 따라 주어, 목적어, 보어, 서술어가 될 뿐 아니라 부사어, 관형어, 독립어가 되기도 한다.

추체험(追體驗)

작품을 읽으며 자신을 작품 속의 인물과 같은 입장에서 그 작품 세계를 행동하고 경험하는 것.

치조음(齒槽音)

혀끝과 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리. 국어의‘ㄴ’,‘ㄷ’,‘ㄹ’,‘ㄸ’,‘ㅌ’따위가 이에 속한다.

[ㅋ]

카타르시스(catharsis,그리스어)

(문학) 비극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비참한 운명을 보고 간접 경험을 함으로써, 자신의 두려움과 슬픔이 해소되고 마음이 깨끗해지는 일.

예) 주인공의 비극적 종말을 본 관객들은 눈물을 흘리며 카타르시스를 느꼈다.

(심리) 정신 분석에서, 마음속에 억압된 감정의 응어리나 상처를 언어나 행동을 통해 외부로 드러냄으로써 강박 관념을 없애고 정신의 안정을 찾는 일.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 이론으로 공포와 연민을 통해 감정을 해방하여 쾌감을 일으키게 하는 일.

캐릭터(character)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혹은 인물의 성격.

커팅

영화에서 하나의 장면을 잘라 다음 장면으로 변환 접속하는 것으로 각 장면의 전환을 뜻한다.

콩쿠르(concours,프랑스어)

음악, 미술, 영화 등의 분야에서 실력을 겨루기 위해 여는 경연 대회.

콩트

장편 소설 혹은 엽편소설이라고도 하며 프랑스에서 발달함. 200자 원고지 20-30매 이내의 미니 소설로 기지와 풍자로써 인생의 어떤 측면을 경묘하게 비판하는 것이 특징임.

큐 시트(cue sheet)

라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제작에 있어서 연기자, 카메라맨, 기술자들이 행해야 할 동작이나 진행순서를 기입한 일람표.

또는 시간이 정해진 음악, 효과 등에 대한 화면 이벤트를 편집자가 구분해 놓은 것.

영국에서는 더빙 차트(dubbing chart)라고 부른다. 제작단계의 큐시트를 매뉴얼큐 시트라고 하고, 자동송출 시스템인 컴퓨터에 넣는 큐 시트를 APC(automatic program control) 큐 시트라고 한다.

클라이맥스(Climax)

전개 부분이 확대 또는 상승되는 부분 정점 소설에서의 갈등이 가장 심화되는 부분을 말함.

클리셰(cliche,프랑스어)

남용의 결과, 의도된 힘·새로움이 없어진 구 (상투구, 상투어표현·개념을 가리키며, 또 상황, 줄거리의 기법, 주제, 성격 묘사, 수사 기법 등, 흔히 있던 것이 되어 버린 대상. 부정적인 문맥으로 사용되는 것이 많다.

즉, 상투적인 표현이나 진부한 표현을 가리킨다.

[ㅌ]

테라피(therapy)

테라피란 약이나 수술에 의하지 아니하고 정신적 또는 육체적 질환을 치유하는 것이다.

(Therapy is the treatment of someone with mental or physical illness without the use of drugs or operations.)

* 시 치료 (Poem Therapy)

극심한 경쟁사회에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의 마음을 다스리고, 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가장 이상적인 마음의 치유 영역이라 할 수 있으며 ‘미숙한 자아’를 보다 ‘건강한 자아’로 회복할 수 있다.

. 듣기,말하기,읽기,쓰기,생각하기,시적 활동 하기 등이 있다.

* 음악치료 (Music Therapy)

즐겁고 창조적인 음악적 경험을 음악치료 대상자와 나눔으로써. 음악치료대상자의 심리적, 신체적, 정신적인 이상 상태를 복원하여 이를 유지하고 나아가서는 향상시킬 목적으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음악을 사용하는 일체의 활동.

* 독서치료 (Biblio Therapy)

독서치료는 독서의 힘을 통하여 사람의 심리, 정서, 부정응 문제 해결을 돕고자하는

임상학문이다.

* 미술치료 (Art Therapy)

미술치료는 심신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미술작업(창작활동)을 통해서 그들의 심리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며, 특히 자신의 의사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없는 아동이나, 정신지체아동들에게 있어서 더욱 유효한 치료법이다.

* 연극치료 (Drama Therapy)

연극을 통해 극적 상상의 세계와 집단 예술작업을 경험함으로써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능력, 상상력의 잠재력 가능성을 마음껏 표출하게 되는 것.

* 원예치료 (Flower Therapy)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하여 사회적, 교육적, 심리적 혹은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이로 말미암아 육체적 재활과 정신적 회복을 추구하는 전반적인 활동.

테마(주제,theme)

작품 속에 나타난 중심 사상이며 작품 속에 구현되어진 의미여 제재에 대한 해석이다. 창작 과정으로 보아서는 동기의 구체화라고 할 수 있다.

통사구조

동일한(유사한) 문장의 구조가 반복적으로 쓰이는 것.

반복을 하면 의미가 강조되고, 리듬감을 형성할 수 있다.

예) 신석정 시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 어머니

당신은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3회)

예) 한용운 시 <알 수 없어요>

* 누구의 ~ 입니까?

통찰력(洞察力)

사물을 환히 꿰뚫어 보는 능력.

예) 그녀는 사회 전반에 대한 통찰력이 부족하다.

예) 그의 주장은 미래를 내다보는 슬기와 통찰력을 유감없이 보여 주고 있다.

[ㅍ]

파열음(破裂音,plosive)

(언어) 자음(子音) 가운데 발음 기관의 어느 한 부분을 막았다가 일시에 터뜨려 내는 음. ㅂ, ㄷ, ㄱ의 부류나 영어의 p, t, k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파찰음(破擦音)

(언어) 파열과 마찰이 함께 일어나는 자음. 예사소리 ‘ㅈ’, 된소리 ‘ㅉ’, 거센소리 ‘ㅊ’ 따위가 이에 속한다.

패러디(Parody)

(예술) 전통적인 사상이나 관념, 특정 작가의 문체를 모방하여 익살스럽게 변형하거나 개작하는 수법. 또는 그렇게 쓴 작품. 흔히 당대 가치관의 허위를 풍자하고 폭로하는 방법으로 쓰인다.

예) 그녀는 패러디를 통해 현실의 모순과 부조리에 대해 비판을 하는 작가이다.

페시미즘(pessimism)

세상과 인생을 악하고 괴로운 것으로 보고 아무런 가치가 없으며 나아질 수도 없다고 생각하는 주의<염세주의(厭世主義)

페이소스(pathos)

① 불쌍하게 여기는 마음. 또는 허전하고 슬픈 마음.

② 파토스(pathos)는 원래의 그리스어로는 청중의 감성에 호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파토스는 수사학, 문학, 영화 그리고 서사적 예술 장르에서 사용했던 의사소통 기교이다. 영어 발음을 따라 '페이소스'라고 하기도 한다.

표절(剽竊,plagiarism,piracy )

시나 글, 음악 따위를 지을 때, 남의 작품의 일부를 자기 것인 양 몰래 따서 씀.

이번 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그림에 대해 표절 시비가 일고 있다.

요즘 한창 인기를 얻고 있는 대중가요가 표절을 했다는 사실이 밝혀져 물의를 빚고 있다.

풍유법(諷諭法)

본래의 뜻을 감추고 표현되어 있는 것이 이상의 깊은 내용이나 뜻을 짐작하게 하며 흔히 교훈적인 수사법 알레고리.

풍자(諷刺)

인간의 약점 사회의 부조리 비논리 같은 것을 조소적으로 표현하는 수법.

프롤로그(prologue)

① (문학) 책의 첫머리에 서문 대신 쓴 시.

예) 소설이나 장편시의 서사나 서곡은 프롤로그에 해당한다.

② (연극) 극의 앞부분에서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배우가 극의 내용을 소개하는 일. 또는 그 대사.

플롯(plot)

소설 희곡 각본 등의 스토리를 형성하는 줄거리 또는 줄거리에 나오는 여러 가지 사건을 하나로 얽어 짜는 일과 그 수법.

[ㅎ]

하모니

일정한 법칙에 따른 화음의 연결.

예) 우리는 그의 교향곡의 선율이 가진 밝고 강렬한 하모니에 압도되었다.

함축적 의미(含蓄的意味)

문학 작품에 있어서 내부 구조를 통해 드러내는 의미 지시적 의미의 반대되는 뜻으로 쓰인다.

 

해학(諧謔)

세상사나 인간의 결함에 대한 익살스럽고 우스꽝스러운 말이나 행동.

예) 이 소설은 우리네 인간사의 고달픈 생활을 멋진 해학으로 승화하고 있다.

 

합평회(合評會)

어떤 작품에 대해서 여러 사람이 모여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비평하는 모임.

 

환치(換置)

① 바꾸어 놓음 ② 이전과 다르게 바뀌어지다. 

 

형상화(形象化)

형체가 분명하지 않은 추상적인 본질 따위가 어떠한 방법이나 매체를 통해 구체적이고 뚜렷한 형상으로 나타나게 됨. 특히 어떤 소재를 작가의 일정한 의도에 따라 예술적으로 재창조하는 일을 이른다.

예) 한 비평가는 이 조각 작품이 모성의 형상화가 아주 뛰어난 작품이라고 평가하였다.

 

형태소(形態素,morpheme)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화음 (和音,chord)

높이가 다른 둘 이상의 음이 함께 울릴 때 어울려서 나는 소리. 협화음, 불협화음 등 종류가 많다.

예) 내가 노래를 부르자 그는 낮고 은은한 목소리로 화음을 맞추어 주었다.

 

활유법(活喩法,personification)

(문학) 무생물(無生物)을 살아 있는 생물에 비유하여 표현하는 수사법.

예) "울부짖는 바람", "파도가 으르렁거리며 달려들었다"와 같은 예가 있다. 활유법은 시, 동화, 우화 등과 같은 문예작품에서 널리 쓰이는데, 대개 표현의 생동성을 높이거나 서정적 정서를 드높이는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다.

 

후두(喉頭)

인두와 기관 사이에 있는 호흡 및 발성 기관.

* 인두 : (의학) 구강(口腔)과 식도(食道), 비강(鼻腔)과 후두(喉頭) 사이에 붙어 있는 깔때기 모양의 근육성 기관.

* 비강(鼻腔) : 콧구멍에서 목젖 윗부분에 이르는 코 안의 빈 곳.

 

휴머니즘(humanism)

인간성의 해방과 옹호를 이상으로 하는 사상 또는 심적 태도 인간성을 구속 억압하는 대상이 시대마다 다른 양상을 띤다. 인도주의.

 

희곡(戱曲,drama)

무대 위에서 공연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대사를 중심으로 씌어지는 연극 대본.

* 희곡의 3대 요소 : 대사, 지문, 해설

예) 우리 극단은 소설을 희곡으로 개작하여 연극 무대에 올렸다.

 

횡격막

가슴과 배를 나누는 가로무늬근육을 말하며 위로는 가슴, 아래로는 배와 구분이 되며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호흡운동을 돕는다.

 

희화화 [戱畵化]

① 과장되거나 우스꽝스러운 것이 되도록 묘사되다 ② 어떤 사물이나 사람이 과장되거나 우스꽝스럽게 묘사됨.

출처 : 반기룡의 재미있는 시낭송 교실
글쓴이 : 반가운 반기룡 원글보기
메모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