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선민 시인의 서재입니다

또다시 읽는 어느 독일인의 손기정과 대한민국 예찬 본문

일반게시판

또다시 읽는 어느 독일인의 손기정과 대한민국 예찬

오선민 2011. 8. 9. 10:16

또다시 읽는 어느 독일인의 손기정과 대한민국 예찬


…(상략)… 1936년 히틀러 정권시절 베를린에서 올림픽이 개최됩니다. 그 당시에 마라톤경기에서 두 명의 일본인이 1등과 3등을, 그리고 2등은 영국인이 차지합니다. 하지만 시상대에 오른 두 일본인의 그 표정이라는 것이…그건 인간이 지을 수 있는 가장 슬픈 표정입니다…정말 불가사의한(아리송한) 사진입니다…왜 그 두 사람은 그런 슬픈 표정을 지으며 시상대에 올라 있는 것일까요? …(중략)…

이 민족은 (죽음을 미화하고 폭력을 사용하기를 좋아하는) 이웃한 일본인들을 ‘왜놈(일본놈)’이라고만 부릅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이 자의식이 강하고 인간의 존엄성에 큰 가치를 두는 이 민족이 ‘왜놈’에 정복당합니다. 다시 말한다면 식민 지배를 받게 되는 것이지요. …(중략)…

그 당시 식민지의 대부분의 불행한 젊은이들은 엄청난 고통과 시련 속에서 개인의 꿈을 접고 살았습니다. ‘손(기정)’과 ‘남(승룡)’이라는 두 젊은이도 예외는 아니었지요. 그래서 이 두 사람은 그 울분을 마라톤으로 표출할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들은 수많은 일본의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마침내 올림픽경기에 참가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뛰고 또 뛰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들은 달리는 동안 무엇을 생각했을까요?

결국 그들은 우승을 해서 시상대에 올랐지만 그들의 가슴에는 태극기가 아닌 일장기의 붉은 원이 붙어있었습니다. 그리고 시상대에도 일본의 국기가 게양되었습니다.

그런데 그 두 젊은이의 얼굴 표정이란 것이…두 사람은 얼굴을 푹 숙이고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한없는 부끄러움과 슬픈 얼굴을 아무에게도 보이고 싶지 않은 것입니다. 그리고 일본의 검열 하에서 이 기사를 실었던 동아일보는 사진에서 일장기를 말소합니다. 그런데 이 행동은 숭고한 정신적 종교인 유교에 어울리는 독특한 저항방식이 아니겠습니까? 그 후 일본정부는 신문사의 폐간을 결정합니다. 이런 야비하고, 무지한 동시에 무식한 억압이 어디 있습니까?

하지만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마침내 이 민족은 해방을 맞이합니다. 그리고 이데올로기에 강요된 끔찍한 전쟁을 치른 후 이 민족은 한강의 기적으로 (일본인들을 게으르다고 하는 사람들은 한국인들밖에 없습니다) 경제적으로 스페인이나 포르투갈보다 훨씬 더 부유한 국가를 만들어냅니다. 그 후 이 나라의 수도 서울에서 올림픽이 개최되었습니다. 52년이 지난 후에 말입니다… 가슴에 태극기조차도 달 수 없었던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이 올림픽을 개최하는 겁니다. 그리고 개회식에서 성화주자로 경기장에 들어선 조그마한 소녀의 손에서 성화를 넘겨받은 사람이 바로, 그 당시(1936년) 몹시도 슬프고 부끄러워했던 마라톤 우승자 손기정씨였습니다. 손에 성화를 든 백발이 성성한 이 슬픈 마라토너는 마치 세 살배기 아이처럼 기뻐하며 달렸습니다! 감독의 지시는 없었지만 이 이야기는 이처럼 기쁘기 그지없는 장면을 연출해내고 있습니다. …(중략)…

한국인들은 (납득하기 어려운 복수심이나 오기 그리고 거친 폭력과 같은 것이 아니라) 놀라운 정신력으로 자신들이 50여 년 전에 잃어버렸던 금메달을 되찾습니다. 서울에서 올림픽이 개최되고 4년 후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늙은 ‘손(기정)’과 비슷한 체구를 지닌 ‘황(영조)’라는 한 젊은 마라토너가 몬주익 언덕에서 일본과 독일 선수를 따돌리고 월계관을 차지합니다. 경기장에서 한국국기가 게양되었을 때, ‘황’은 한국국기에 경의를 표하며 기쁨의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관중석을 향해 달려가 ‘손’에게 메달을 선물하며 깊은 경의를 표했습니다. 황을 껴안은 ‘손’은 아무 말이 없었습니다.

나는 이 이야기를 접했을 때 인간에 대한 믿음으로 기쁨을 감출 수가 없었습니다. 한국인들, 아니 한국 민족과 같은 사람들은 폭력과 거짓과 불화가 아닌 불굴의 의지로 고통을 극복할 수가 있었던 것입니다. 이 이야기는 슬픈 눈물로 시작하여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행복한 결말로 끝을 맺습니다. 이 한국인들, 아니 이 한국 민족은 역사상 그 어떤 민족도 그럴 수 없었던 인간의 존엄성을 그리고 국가와 민족으로서의 존엄성을 만방에 떨친 민족이 아닐까요?

도서관에 한 번 가보십시오! 그리고 시상대에 선 두 마라토너의 사진을 보십시오. 그 순간 여러분들은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될 것입니다.

읽어도 읽어도 묘한 감동을 일으키는 위의 글은 2001년 독일의 한국대사관 문화홍보원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독일인 슈테판 뮐러 씨가 기고해서 화제를 일으켰던 글입니다.

오늘(8월 9일)은 고 손기정 선생이 75년 전 세상에서 가장 슬픈 표정을 지었던 그날입니다. 또 1992년 오늘은 황영조가 손 선생의 한을 풀어주며 몬주익의 신화를 창조한 날이고요. 슬픔과 환희가 범벅인 대한민국 마라톤의 날이지요. 뜻깊은 날, 여러분의 가슴에 자랑스러운 한국인의 긍지를 채워 넣으시길 빕니다. 고개를 들고 가슴을 펴고 하늘을 보면서 말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