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선민 시인의 서재입니다

[스크랩] 까뮈/ 이기철 본문

좋은 시 감상

[스크랩] 까뮈/ 이기철

오선민 2017. 1. 9. 11:21




까뮈/ 이기철

 

그대가 노벨 문학상을 받던 해

나는 한국의 경상도의 시골의 고등학생이었다.

안톤 슈낙을 좋아하던

갓 돋은 미나리 잎 같은 소년이었다.

알베르 까뮈, 그대의 이름은 한 줄의 시였고

그치지 않는 소나타의 음역(音域)이었다

그대 이름을 부르면 푸른 보리밭이 동풍에 일렁였고

흘러가는 냇물이 아침빛에 반짝였다

그것이 못 고치는 병이 되는 줄도 모르고

온 낮 온 밤을 그대의 행간에서 길 잃고 방황했다

의거가 일고 혁명이 와도

그대 이름은 혁명보다 위대했다

책이 즐거운 감옥이 되었고

그대의 방아쇠로 사람을 쏘고 싶었다

 

다시 오지는 않을 것이다. 그 열광과 환희는.

그러나 나는 후회하지 않으련다

아직도 나는 반도의 남쪽 도시에서 시를 쓰며 살고 있지만

아직도 나는 백 사람도 안 읽는 시를 밤 세워 쓰고 있지만

이 병 이 환부 세월 가도 아주 낫지는 않겠지만

 

- 시집가장 따뜻한 책(민음사, 2005)

.........................................................

 

  44세 최연소의 나이로 그대가 노벨 문학상을 받던’ 1957, 나는 한글의 자모도 깨치지 못했고, 그대가 각색 연출한 연극(도스토예프스키의 악령)을 보기 위해 친구의 차를 빌려 타고 파리로 향하던 중 가로수를 들이받아 47세의 나이로 급하게 죽은 196014, 나는 초등학교 입학을 눈앞에 두고 있었다. 그리고 1970년 고2 여름방학 때 실존적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가 아니라 내면의 우쭐함을 득템할 요량으로 그의 이방인페스트시지프의 신화를 빌려 읽었다. 그러나 행간에서 길 잃고 방황했던기억은 있으나 책이 즐거운 감옥이되었다거나, ‘그치지 않는 소나타의 음역으로 다가왔던 책은 아니었다.


  그가 쓴 책들의 대부분이 전후의 암울했던 시대상황이 낳은 소산임을 감안하더라도 내게 그 우울은 버거웠다. ‘습관의 가소로운 면, 살아야 할 심각한 이유의 결여, 법석을 떨어가며 살아가는 일상의 어처구니없는 성격이란 구절에서 삶에 대한 모욕, 자칫 삶을 수렁에 빠뜨릴 수 있겠다는 경계심마저 발동했다. 그리고 실존과 부조리에 대한 사유를 조금 확장시켰을 뿐, 그의 이름은 간간히 술병의 라벨을 통해 환기되었거나, 그저 20세기 프랑스 지성의 한 사람으로 사르트르’ ‘말로’ ‘지드등과 함께 패키지로 스쳐지나갔다. 그리고 지난해 4월 어머니를 떠나보낸 그날 잠시 먹먹했던 틈으로 이방인의 맨 앞문장이 덜컥 떠올랐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모친 사망, 부고를 드림” “전보 내용으로 보아 사망날짜가 어제인지도 모르겠다. 아마 어제인 것 같다무미건조하게 어머니의 장례를 치루고 태연하게 무료한 일상을 이어나가는 뫼르소를 납득하기는커녕 어쩌면 번역자 김화영의 번역 농단이 아닐까 의심할 정도로 이해불가였다. 그런데 아주 가끔 이 세상이 살만하지 않다면 자살해야 하고, 살만하다면 살아가야 할 이유를 발견한 것이라는, 생사가 걸린 그 문제가 나를 괴롭혔다. 삶의 당위를 발견할 수 없을 때, 내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내가 알고 있는 것과의 큰 괴리를 느낄 때, 그의 방아쇠를 빌리고 싶었다.


  2차 세계대전 때 프랑스를 점령한 독일의 한 고위관료는 이 나라를 지배하는 실질적인 두 정부가 있다. 그것은 프랑스 중앙은행과 갈리마르 출판사다라는 말을 남겼다. 갈리마르 출판사는 1911년 창립돼 100년이 넘도록 오늘날까지 건재하다. 이 지성의 산실에서 발간한 프랑스 최대의 스테디셀러 1위가 알베르 까뮈다. 참고로 2위는 어린 왕자의 생택쥐베리이고 3위가 장폴 사르트르이다. 그런 까뮈의 생이 사실 행복과는 거리가 멀었다. 가난했던 어린 시절, 폐결핵으로 골골했던 청년시절, 번번이 실패한 결혼, 불운한 사망. 프랑스계 이민자로 알제리에서 태어난 디아스포라와도 같은 여행자로서의 삶이었다.


  까뮈가 죽고서 57년의 시간이 흘렀다. ‘우리들 생애의 저녁에 이르면 우리는 얼마나 타인을 사랑했는가를 놓고 심판 받을 것이다라고 한 까뮈의 통찰을 다시 되새긴다. 그리고 나는 만날 백 사람도 안 읽는 시를만지작거리며 이나 푸는 처지다. 글을 쓴다는 것은 까뮈의 스승 장 그르니에가 말했듯이 자신의 강박관념을 질서 있게 정리하는 일일지도 모르지만, 의미 없는 삶에 나름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오로지 자신의 몫이다. 부조리한 삶일지라도 삶은 나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잡문을 끼적이고 있는 관성 탓에 모드 전환이 쉽지 않아 비록 시는 못 쓰고 있지만 내게도 환부가 남아있다면 서둘지 않고 겸허히 마주하리라.

 


권순진




출처 : 詩하늘 통신
글쓴이 : 제4막 원글보기
메모 :

'좋은 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이 되는 건 / 이해인  (0) 2017.02.16
술보다 독한 눈물 / 박 인 환  (0) 2017.02.08
[스크랩] 너무 아픈 사랑/ 류근  (0) 2017.01.09
12월의 기도 / 목필균  (0) 2016.12.09
춤추는 달팽이 / 고진하  (0) 2016.07.15
Comments